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둘 중 하나만 선택한다면?

2023. 3. 11. 09:00특급정보 소소하게📢

📣 최근 최대 144만 원까지 지급받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와 관련해서 정부가 밑그림을 공개했는데요. 시행은 6월부터지만 미리 알아보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서 빠르게 내용 정리해 보았습니다.

👉🏻 기사로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하기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매달 70만 원(한도)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상품인데요. 정부에서 최대 144만 원까지 지원해주고, 15.4%의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특징이 있어요. 현재는 오는 6월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정부에서는 해당 상품이 약 300만 명 정도의 청년층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고 해요.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비교

아래 표에는 명시하지 않았지만, 두 상품 모두 대상자는 만 19세~34입니다. 가장 큰 차이는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총 급여 기준이 7,500만 원 이하라는 점인데요. 기존 청년희망적금이 3,600만 원 이하였기 때문에 대상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네요.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소득기준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총급여 3,600만원 이하
가구소득 가구소득 중위 180%미만 없음
월납입액 최대 70만원 최대 50만원
만기 5년 2년
정부기여금 월 최대 2.4만 원, 144만원(5년) 만기 때 1회 최대 36만원
비과세 15.4%(이자소득세 및 농어촌특별세) 비과세로 동일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나는 해당이 될까?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중위소득
180%
3,740,205 6,221,079 7,982,668 9,721,735 11,395,238 13,010,365

- 표 금액 안에 들어오면 가능하십니다..! 

💬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미정!

-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간은 변동금리가 적용된다고 하는데요. 정부에 따르면 금리 수준은 아직 얘기하기 어렵지만, 기준금리 일정 이상으로 생각하면 되고 일반은행 상품보다는 더 경쟁력 있을 것이라고 하네요.

⚠ 기여금은 개인소득(총급여 기준)에 비례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지원은 더 많다는 점! 모든 대상이 최대 2.4만 원을 지급받는 것은 아니네요. 특히 개인소득이 7,500만 원 이상 되는 분들은 정부 기여금 0원입니다. (아니 이럴 거면 왜 해주는 거예요?...) 오직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어요.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야 할까?

아쉽게도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라면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은 불가능해요. 단,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 복지와 고용 관련 상품들은 동시 가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미 쳥년희망적금 가입자라면 해지를 하고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야 할까요..? 가입시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부분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셨던 분들은 내년에 만기가 되는 시점일 텐데요.

🤦‍♂️ 우선 총 36만 원 지원금을 포기해야 합니다. 또 다른 리스크는 5년(60개월)이라는 점인데요. 월 최대 144만 원을 받는다는 가정하에 월 288,000원을 더 받을 수 있어서 좋긴 한데요. 더 좋은 정책이 나오게 되면 그때는 어쩌죠? 중간에 또 갈아타야 하나..😇

아무튼 선택은 본인의 몫이지만 소득 수준과 처한 상황에 따라서 신중하게 고민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해지 관련

오는 6월부터 신청이 가능한데요. 취급 기관 앱을 통해 가입신청을 받는다고 합니다. 비대면 심사로 진행되고요. 1년 주기로 유지 심사도 한다고 해요. 

청년도약계좌는 중도해지가 가능한데요. 약간 꼼수 같기도 해요. 왜냐하면 이유 없는 중도 해지는 불가하거든요. 이를테면 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주, 퇴직, 사업장 폐업, 천재지변 등등 일부 제한적인 경우에만 해지가 가능하다고 하네요.

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에 관해서 정리해 보았는데요. 시행 관련해서 더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면 그때 또 빠르게 알려드릴게요!

반응형